"추운 날 음식물 쓰레기 버리러 밖에 나가지 않아도 되니 너무 편합니다."
음식물 분쇄기(주방용 오물분쇄기) 후기를 두고 의견이 분분합니다. 편리함을 극찬하는 측과 수질 오염 및 하수구 막힘 등의 문제를 우려하는 측으로 의견이 나뉩니다.. 일부 제품은 불법 논란까지 일었지만, 여전히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들 또한 많이 있기 때문에 음식물 분쇄기와 싱크대 막힘 해결방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 편리하지만 문제는?
TV홈쇼핑과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판매되는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오물분쇄기)는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의 사용이 하수도 막힘, 악취 유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일으킨 사례도 많기 때 문제 제대로 알고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 예로, 3층 아파트 거주자가 쌀을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에 넣고 하수로 흘려보내면서 1층 주방 배수구가 막히는 사고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는데, 이로 인해 25개 층의 오수가 역류하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피해자는 가해자로부터 적절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고 호소했던 사례도 있었습니다.
법적 문제와 인증 기준
하수도 관계법령 등에 의하면,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는 2차 처리기를 장착하여 배출물의 80% 이상을 걸러내야 하며, 20% 이하만 하수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가정에서는 100만 원의 과태료, 판매 업체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단속이 쉽지 않아 불법 개조된 제품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 아파트 단지내 공용 하수관 막힘으로 인한 분쟁이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원칙적으로 주방용 음식물 분쇄기는 불법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2012년부터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인증제를 도입하여 일정 기준을 충족한 제품만 판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음식물 찌꺼기 80% 이상 회수 가능 –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갈아버리지 않고, 분쇄 후 남은 찌꺼기를 별도로 모아 배출해야 한다.
- 하수 배출 기준 준수 – 배출되는 폐수의 유기물 함량이 수질 기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일부 소비자들이 편의성을 이유로 2차 처리기를 제거하거나 개조하여 사용하여 문제가 발생된다고 합니다.

싱크대 막혔을 때 대처법
주방 싱크대 사용하다 한번은 막히는 경험을 할 텐데 그때마다 멘털이 나갑니다. 싱크대 장 하부의 문을 열면 아래 사진과 같이 되어 있는데 여기의 주름관까지 막혔다면 집에서 그냥 풀어서 청소하면 끝입니다.
하지만 이것마져도 못 만지시는 분들은 아마 5만 원 정도는 생각하셔야 하고요
사진에서 보이지 않는 하부로 내려가는 관이 막혔을 경우가 정말로 큰일입니다.
이 때는 주저하지 말고 하수도 뚫는 전문업체 불러야 합니다. 아마도 비용은 여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파트의 경우 20만 원에서 25만 원 정도면 뚫어 줍니다. (기타 빌라나 단독주택의 경우 배관상태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집에서 직접 막힌 하수관 뚫는 방법 정리(인터넷 다 뒤져서 정리했습니다.)

- 끓는 물 사용 주의 – 너무 뜨거운 물을 부으면 관이 손상될 수 있으니 50~60도 정도의 물을 조금씩 뿌려준다.
- 배수구 클리너(수산화나트륨 성분) 활용 시 – 배수구 클리너(수산화나트륨 성분) 등을 활용 시 기름이 녹지 않고 비누처럼 단단히 굳어질 수 있다(주의할 것).
- 뚫어뻥(플런저) 사용 – 기름때가 아닌 음식물 찌꺼기로 막혔다면 강한 압력을 가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 배수관 분해 청소 – 싱크대 하단 U자형 배수관을 분리하여 내부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결론: 음식물 분쇄기 사용하려면 인증받은 제품을 반드시 사용하세요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편리한 제품이지만, 잘못 사용하면 환경오염과 배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증된 제품을 사용하고, 법적 기준을 준수하며, 음식물 찌꺼기를 무분별하게 하수로 흘려보내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싱크대 막힘을 예방하기 위한 정기적인 배수관 청소는 반드시 하시기 바랍니다.
'사회경제 생활정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 등록, 어디가 유리할까? 지식산업센터 vs 공장용지 비교 분석 (0) | 2025.03.18 |
---|---|
국가첨단산업단지 입주기업에 대한 포기할 수 없는 각종혜택 !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5.03.13 |
하이패스 단말기 없이 고속도로 미납요금 쉽게 납부하는 방법 (0) | 2025.02.26 |
베란다 건조기 설치위해 콘센트 연결이나 신설시 반드시 확인하세요! (0) | 2025.02.23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묵시적 갱신 해지, 갑자기 이사할 경우 어떻게? (0) | 2025.02.20 |